육아의 어려움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절대 알 수 없죠. 끝없는 에너지와 헌신을 요구하는 육아는 때로는 숨 돌릴 틈조차 없이 우리를 지치게 합니다. 특히 아이들이 아프거나 방학을 맞이할 때, 갑작스러운 개인적인 용무가 생길 때면 아이를 어디다 맡겨야 할지 발만 동동 구르기 마련이죠. 서울에 거주하시는 분이라면 이제 더 이상 걱정하지 마세요! 서울시가 여러분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기 위해 '시간제 전문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청하셔서 더이상 걱정하시지 마시고 편하게 용무 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서울시 시간제 보육서비스 이용대상 및 금액
이용대상 : 6개월~7세 이하 취학 전 영유아
(※보육 대상자의 직계존속(부모·조부모)중 한명이상 서울시에 거주해야함)
사업내용 : 가정양육 또는 타 기관 이용 보호자 등 누구나 필요시 시간 단위로 이용할 수 있는 보육서비스
운영시간 : 평일 07:30~19:30 * 주말·공휴일 제
외
이용금액 : 1시간당 2,000원( 월 60시간 한도 )
서울시 시간제 보육서비스 신청방법
- 서울시 보육 포털 서비스 회원가입(https://iseoul.seoul.go.kr/portal/mainCall.do)
- 서울시 육아 종합 지원 센터 웹사이트 가입
- 이용일 14일 전부터 1일 전까지 사전 예약
- 이용 희망일 2주 전부터 최소 하루 전까지 온라인 예약
- 당일 신청은 12시까지 해당 기관에 유선 또는 방문 접수
- 당일 긴급 신청은 정오 12시까지 해당 보육 기관에 전화 또는 직접 방문
이용금액 결제 : 1일전 사전예약 신청 시 어린이집 해당계좌로 입금
예약시간 초과 이용 시 : 초과이용료 납부
예약시간 미만 이용 시 : 미 이용시
간 이용료 익월 5일 환불
예약일 1일전까지 온라인 취소 시 : 100% 환불
서울시 시간제 보육서비스 누가 돌봄해줄까?
우리 아이, 누가 돌봐주나요?
아이들을 맡기는 부모님 입장에서 어떤 사람이 내 아이를 케어해주는지는 맡길지 안맡길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서울시 시간제 보육 서비스는 전문성을 갖춘 보육 교사가 안전하게 돌봄을 합니다.
서울시는 아이들의 안전과 발달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시간제 전문 보육 서비스에 참여하는 보육 교사들은 모두 전문적인 교육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들입니다. 안심하고 아이를 맡기셔도 좋습니다.
서울시 시간제 보육서비스 비용안내
서울시는 시간제 전문 보육 서비스는 시간당 2,000원에 매우 합리적인 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니 경제적 부담이라면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좀더 자세한 사항은 유선문의하시면 상담받으실수 있습니다.
서울시 시간제 보육서비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 시간제 전문 보육 서비스는 몇 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나요?
A: 1일 최대 4시간, 월 최대 60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Q: 주말에도 이용할 수 있나요?
A: 시간제 전문 보육 서비스는 평일에만 운영됩니다.
Q: 당일 신청도 가능한가요?
A: 네, 당일 신청은 정오 12시까지 해당 보육 기관에 유선 또는 방문 접수하시면 가능합니다.
Q: 준비물은 무엇인가요?
A: 기저귀, 여벌옷, 개인 물품 등 아이에게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서울시 시간제 보육서비스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안내
시간제 전문 보육 서비스 신청은 서울시 보육 포털 서비스 웹사이트 또는 해당 보육 기관을 통해 가능합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용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서울형 시간제 전문 보육 서비스는 육아와 일, 두 가지 모두를 완벽하게 해내고 싶은 부모님들을 위한 최고의 선택입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고,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을 되찾으세요!
'알면 좋은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급여 지원금 신청 방법 및 지원금 (0) | 2025.03.22 |
---|---|
신혼부부 200만원 혜택 "순천 청년 부부 결혼 축하금" (0) | 2025.03.19 |
2025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신청 방법 및 대상 (2) | 2025.03.12 |
주거 안정 학자금 대출 신청 방법 및 기간 알아보기 (0) | 2025.03.08 |
천안시 아빠 육아 휴직 장려금 신청 월 30만원 받아가기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