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가기 전에 나에게 큰돈을 모아줄 통장이 있다고 합니다. 우린 이 통장을 신청하여 부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뎌야 합니다. 청년도약통장이라고 한 번쯤을 들어 보셨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듣고 끝나는 게 아니라 이제 행동으로 옮기셔서 소중한 목돈 마련해 가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써 봅니다.
청년도약통장 이란?
먼저 청년도약통장이 어떤 건지부터 알아야겠죠? 청년도약통장은 청년들에게 장기적으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해 주는 금융상품으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생긴 금융 상품입니다. 정부에서 일정 부분의 금리를 지원해 주고 세액공제 혜택을 통하여 일반통장에 비하여 청년자산형성에 매우 도움이 되는 상품입니다. 그래서 조건만 맞는다면 바로 신청하셔서 혜택을 누려보세요.
청년도약통장 신청 조건
청년도약통장 신청 조건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나이 - 만 19세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군복무자의 경우 병역기간(최대 6년)을 빼고 계산합니다.)
-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의 경우(단, 육아휴직급여, 군 장병급여 외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합니다.)
- 가구소득-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아래 표 참조)
가구원수 | 기준 중위소득 250%(연) |
1인 가구 | 62,336,760 |
2인 가구 | 103,684,650 |
3인 가구 | 133,044,480 |
4인 가구 | 162,028,920 |
5인가구 | 189,920,640 |
6인 가구 | 216,839,430 |
7인 가구 | 243,225,450 |
- 융소득종합과세-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자
예전 청년희망적금에 비하여 정말 가입 기준이 정말 낮아졌습니다. 신청하셔서 혜택 받아 가세요
청년도약통장 적금 기간 및 혜택
청년도약통장은 장기적인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상품이기에 비교적 긴 기간인 만 5년(60개월)입니다. 60개월 내에서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적금이 가능하며 매월 최대 6% 정부기여금을 지급,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합니다. 금리 또한 매우 높습니다. 최고 6%까지 가능하며 기본 4.5% 정도 되신다고 보면 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은행마다 다르기에 상담해 보셔야 합니다.
청년도약통장은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서 월 2.1~3.3만 원까지 기여금이 차이가 납니다.
개인소득(연소득,총급여) | 월 최대 기여금 |
2,400만원 이하 | 33,000 |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 29,000 |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 | 25,000 |
4,800만원 초과 6,000만원 이하 | 21,000 |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전부 지급합니다. 연 최대 9.54%의 일반 적금상품을 가입하는 것 과 같다고 합니다.
재테크를 이렇게 안정적으로 연 수익 10%가량을 낼 수 있는 게 흔할까요? 그것도 안전하게 말이죠. 청년도약계좌는 선택이 아닌 청년이라면 필수라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만기인 5년을 다 채우지 못하였더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에 중도해지 할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을 지급합니다 (60%) 이는 연 7.64%의 일반 적금상품을 가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고 합니다.
이게 끝이 아닙니다. 기존에는 만기 전에는 부분인출이 불가능했다면 25년도부터는 가능합니다. 2년 이상 유지를 한 경우라면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이 가능하니 안가입할 이유가 없겠죠?
*참고
2025년도부터 새로워진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여금 지원이 확대(기존 월 최대 2.1~2.4만 원 에서 2.1~3.3만 원으로 기여금이 확대됩니다.)
-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이 강화됩니다.(기존에는 5년 중도해지 시 비과세 미적용, 기여금이 환수되었다면 25년도부터는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을 유지합니다.(단, 60%))
- 성실납입 시 신용평가점수 가점부여(기존에는 별다른 신용평가점수 가점이 없었다면 이제는 가점 최소 5~10점을 부여한다고 합니다.)
- 부분인출서비스(2년 이상 유지했다면 납입원금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청년도약통장 신청방법
청년도약통장 일정은 먼저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통장 신청방법은 농협,신한,우리,하나,기업,국민등 은행을 통하여 가입신청을 하실수 있습니다.별도의 대면 가입없이 은행 어플을 통하여 가입가능하니 참고부탁드립니다.(각 은행사 마다 가입방법 상이함)
다만 1월1일~1월10일까지 가입 신청을 받아 이미 마감을 한 상태입니다. 이에 2월에 신규 신청자 모집일정이 나오면 그때 지원 하도록 하는게 좋을거같습니다.현재 1월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도약통장 마치며
청년도약통장은 정말 청년들에게 목돈을 만들수 있는 매우 좋은기회라고 생각이 듭니다. 다만 5년이라는 긴 가입기간을 가지고 있어 부담은 될수 있지만 감당할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금을 진행한다면 분명 좋은 기회가 될것입니다. 꼭 가입하셔서 혜택 누려가시길 바랍니다.
'알면 좋은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실업급여 계산기 및 신청방법 (0) | 2025.01.23 |
---|---|
음식물처리기 보조금 지원방법 (인천 중구) (0) | 2025.01.22 |
숨은계좌찾기 휴먼계좌 조회방법 (0) | 2025.01.20 |
2025 서울시 새빛주택 지원사업 신청방법 (1) | 2025.01.19 |
2025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대상자 및 신청방법 (0) | 2025.01.18 |